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OAuth
    FE 2023. 7. 4. 11:25

    OAuth

    ➡️ 웹이나 앱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소셜 로그인 인증 방식, 인증을 중개해주는 메커니즘. 보안된 리소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프로토콜.

     

     

    언제, 왜 쓰는지? 

    ➡️ 이미 가입된 계정을 이용해 빠르게 서비스에 가입하는 것을 택하며, 서비스를 구현하는 개발자도 신규 회원가입이나 회원 관리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소셜 로그인을 선호함.

     

     

    OAuth 작동 메커니즘

    OAuth의 주체

     

    • Resource Owner : OAuth 인증을 통해 소셜 로그인을 하고 싶어하는 사용자이며, 이름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뜻함
    • Resource Server & Authorization Server : 사용자가 소셜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이미 사용중인 서비스의 서버중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
    • Application : 사용자가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이용하고자 하는 새로운 서비스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불림. 경우에 따라 Clinet와 Server로 세분화해서 지칭

     

    OAuth 인증 방식의 종류와 흐름

    * Grant Type : Authorization Server에서 Access Token을 받아오는 방식

    • Implicit Grant Type : 잘 사용하지 않음. 보안성이 떨어짐

     

    • Authorization Code Grant Type : Authorization Code 사용해 인증단계가 추가로 있어 비교적 안전.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토큰이 만료되었을 경우 다시 발급 받을 때 편의성이 좋지 않음. 액세스 토큰을 발급해 줄 때 리프레시 토큰을 같이 발급함

     

     

    • Refresh Token Grant Type : Authorization Server로 리프레시 토큰을 보내면 Authorization Server는 리프레시 토큰을 검증한 다음 액세스 토큰을 다시 발급. Application은 다시 발급받은 액세스 토큰을 사용해서 Resource Server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받아옴

     

     

    OAuth의 장점

    1. 쉽고 안전하게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2. 권한 영역을 설정할 수 있음

    '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tion3 회고  (0) 2023.07.06
    Coz’ Mini Hackathon  (0) 2023.07.05
    Token  (0) 2023.07.03
    Cookie / Session  (0) 2023.07.02
    [네트워크] 심화  (0) 2023.06.29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