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열 : 순서가 있는 값
순서는 index(인덱스)라고 부르며 1이 아닌 0부터 번호를 매긴다
대괄호를 이용해서 배열을 만들고 element(원소)를 , (쉼표)로 구분해준다.
let myNumber = [ 73, 98, 96, 24, 10 ]; ➡️ myNumber[2] = 96;
Array.isArray : 특정 값이 배열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다 (객체가 Array라면 true, 아니라면 false를 반환)
push : 배열 끝에 메서드를 추가
pop : 배열 끝에 메서드를 삭제
shift : 배열 앞에 메서드를 삭제
unshift : 배열 앞에 메서드를 추가
indexOf : 배열에서 지정된 요소를 찾아줌
includes : 배열에서 특정 요소가 포함되고 있는지 판별
문제에 손도 못대고 있다가 페어분이 의사코드를 작성후 푸는 방식을 알려주셨는데 정말 도움이 많이 됐다!
그동안 손코딩 한다고 해도 문제를 읽는 수준이었는데 어떤 식으로 해야하는지 한문제를 같이 천천히 해본 후 내 스스로 해보는게 좋을 것 같아서 각자 문제 풀 시간을 가졌다 지금도 문제를 확실히 파악하기엔 부족하지만 어느정도 알 것 같다
문제를 풀고 reference는 내가 푼 방식이랑은 달랐지만 통과한 것을 보고 너무 뿌듯했다 배열 난이도가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고 해서 풀 수 있었던 것 같다! 문제가 안 풀리면 여전히 답답하지만,, 차근차근 해나가면 조금씩 풀 수 있는 문제가 많아지지 않을까 싶다 유닛마다 바뀌는 좋은 페어분들 덕분에 쉽게 이해할 수 있었고 도움도 정말 많이 받아서 너무 감사했다 나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싶은데 .. 하하 ㅠㅠ
나태해지지말고 꾸준히 하자!
'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핵심 개념과 주요 문법 (0) 2023.04.27 객체 (0) 2023.04.26 Linux / Git (0) 2023.04.24 계산기 구현하기 (0) 2023.04.21 JavaScript 기초3 (0) 2023.04.20